민간부문의 남북環境(환경)협력 분야 및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12:09
본문
Download : 민간부문의 남북환경협력 분야 및 방향.hwp
특히 남한의 민간단체가 사업 제안이나 만남 자체를 정치적 성과물로 이용하려는 태도…(skip)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민간부문의남북環境(환경)협력분야및방향






민간부문의남북환경협력분야및방향 , 민간부문의 남북환경협력 분야 및 방향경영경제레포트 ,
민간부문의 남북環境(환경)협력 분야 및 방향
Download : 민간부문의 남북환경협력 분야 및 방향.hwp( 56 )
다. 이것은 북한의 정치적 현실과 이해를 고려해 의제를 선정할때 실행가능성이 있다는 의미 뿐만아니라 사업을 제안하는 남한 민간단체의 정치적 태도도 포함된다 현재 북한이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대외 특히 대미활동 등을 바탕으로 북한의 국제협력과 교류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개별 사업에 대한 북한의 정치적 선호도나 사업에 의한 정치적 영향 등을 우선적인 고려요소로 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당위와 크게 어긋난다. 필요성(必要性)의 크기 만큼이나 높은 정치적 장벽으로 가로막혀 있다 따라서 협력의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실행가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하며, 고려해야할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치적 실행가능성이다. 또한 제시될 수 있는 협력 의제도 매우 다양하다.
1. 머리말
2. 민간부문의 남북environment협력 분야 및 방향
○ 생태계 조사 및 보호
○ 산성비 문제 공동대응
○ 해양 environment 협력
○ 에너지 부문 협력
○ 전문 인력교육 및 정보교환
○ environment 기술지원
3. conclusion(결론)
2. 민간부문의 남북environment협력 방향 및 분야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environment문제의 수준이나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과제課題를 볼 때 지역 또는 남북 environment협력의 객관적 필요성(必要性)은 매우 높고, 방향성도 뚜렷하다. 또한 사업제안을 위해 접촉하는 대상자나 기관의 북한내 정치적 위상도 중요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