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3 23:43
본문
Download :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hwp
그러나 그 후에 고문 경전이 발굴되고 수집되자 고문학이 유행하게 되었다. 동중서는 유교를 바탕으로 하여 다른 사상을 절충하였는데, 기(氣)의 성함과 쇠함에 의해서 만물이 생성되고 소멸한다고 하고, 사람에 성에는 선, 악, 혼의 삼품이 있다고 하였다. 한고조 유방은 진나라가 멸망하게 된 것은 시황제의 탄압정책이 민중의 강한 반발을 샀기 때문이라고 생각 참고 문헌 : 정진일,『중국(China)철학사 Ⅱ』, 조선대학교 출판국 - 7p
다. 그런데 이때에는 분서갱유 이후의 학자들의 기억에 의존하여, 당시의 통용문자인 예서(隸書; 진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한 후에 만든 문자)로 기록한 경전을 토대로 발생한 경학, 즉 금문학(今文學)이 유행하였다. 정진일,『중국(China)철학사 Ⅱ』, 조선대학교 출판국 - 9p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1. 천지
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인성론으로는 성삼품설을 내세웠다.
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report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
보고서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설명
하늘과 사람의 관계를 긍정하는 맹자를 추종하여, 순자를 따르는 노학에 반대하였으며, 음양오행설을 받아들이고, 참위설과 재이설을 받아들였다.
.
하고, 자유방임 정책을 취했다. 정진일,『중국(China)철학사 Ⅱ』, 조선대학교 출판국 - 8p
순서
왕충은 노자와 <주역>의 우주론을 확립하여, 참위와 미신에 빠진 당시의 제학(齊學)을 맹렬히 공격하였다. 그리고 유자들의 권유를 받아들여 조정의(定義)례를 제정하고 공자묘에 가서 제사를 지냈다.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
.




2. 동중서의 사상
그런데 고문학은 대체로 문자의 훈고에 힘쓰게 됨으로써 훈고학으로 발전되어 갔으며, 후한에 이르러서 전성기를 맞이한다.
진나라는 천하를 통일한지 15년 만에 멸망하고, 뒤를 이어 유방이 기원전 206년에 한나라를 세웠다. 그 후로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졌는데, 이들은 점차 미신에 빠져서 타락하였다. 이들을 제학(齊學)이라고 한다. 정진일,『중국(China)철학사 Ⅱ』, 조선대학교 출판국 - 10p
Download : 레포트 - 한대철학 - 동중서, 왕충.hwp( 79 )
그 후에 무제 (7대)가 유교로 사상통일을 이룩하라는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 이외의 학술을 금함으로서, 유교는 국교가 되다시피 하였다. 이로부터 유교는 한나라의 통치 이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