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매개와 연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0 21:29본문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매개와 연결.hwp
A. 기든스가 말하는 성찰적 근대에서 성찰은 흔히 학문의 매개를 통해 이루...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매개와 연결.hwp( 59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다.
누리망 세상, 디지털 세상에서 이러한 매개는 이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듯이 보인다.
이러한 생각이 윤성이가 「전자민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에서 지적하는 <가능성>의 기반이 되겠지만, 지금까지의 현실만 보더라도 전자민주주의는 제법 한계를 가지는 것같이 보인다. 그러나 그 이유가 “일반 국민들은.... 대부분의 문제들에서는 사안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집단들이 자신들을 대신하여 의사결정을 해주기를 원한다”는 윤선생의 생각과는 다를 것이라고 여긴다. 박재흥이 「디지털 혁명과 정보 불평등」에서 잘 요약한 바와 같이 한국 사회에서도 인구의 여러 범주별 정보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때로 그 격차는 더 확대되기도 함을 강조하지만, 그러나 전반적으로 보아서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정보 능력들도 확대되고 있다아 박선생이 제안하는 정보 불평등 해소 정책들에 공공적 접근 시각이 더 중시되면 좋겠다는 생각은 있지만, 우여곡절은 있을망정 그리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아도 한국의 인민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생각을 청와대 게시판에 올릴 수 있는 물질적, 기술적, 정보적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는 것이 평자의 생각이다. A. 기든스가 말하는 성찰적 근대에서 성찰은 흔히 학문의 매개를 통해 이루... , 디지털 시대의 매개와 연결인문사회레포트 ,
현대 사회는 스스로에 대한 지식도 과학의 매개를 통해 얻기도 하였다. 윤선생은 자신의 전반적 주장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소략한 수준에서 밝혔지만, 장차 더욱 세련된 실증적 근거와 논증이 나올 것이라는 것은 평자의 정당한 기대일 것이다.디지털 시대의 매개와 연결
현대 사회는 스스로에 대한 지식도 과학의 매개를 통해 얻기도 하였다. A. 기든스가 말하는 성찰적 근대에서 성찰은 흔히 학문의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고, 과학자들은 그 매개의 물질적 담당자이었다.
한편 윤선생은 사이버 공간에서 숙의(deliberation)의 가능성이 낮음에 대해 주목하지만, 그 공간에서는 여러 사회적 경험의 직접적 체험자들이 직접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에게 별도의 권위적 매개를 거치지 않고서도 이야기할 수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때로 이들의 전문적 지식은 제도권에서 인증받은 사람들, 흔히 학자들에 비해 결코 모자라지 않은 바, 그들은 흔히 매니아라는 이름으로 불린다…(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현대 사회는 스스로에 대한 지식도 과학의 매개를 통해 얻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