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관의 목표(goal)관리기술(MBO)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9 17:22
본문
Download : 목표관리기술.hwp
Download : 목표관리기술.hwp( 89 )
Ⅱ. 사회복지기관에서 적용가능한 MBO모델의 구성요소
1. 임무에 대한 합의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프로그램(program]) 의 결정사항이나 기관의 방향선택에 참여할 수 있다아 개인별 혹은 팀별 목표들을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서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된다.
Ⅲ. MBO의 추진절차
4. 환류
목표(goal)관리기술(MBO) 사회복지기관에서 MBO모델 목표(goal)관리기술 MBO / (목표(goal)관리기술(MBO))
3. 목표의 구체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Ⅰ. MBO의 의의와 목적
2. 업무수행과 중간결과의 평가
Ⅱ. 사회복지기관에서 적용가능한 MBO모델의 구성요소
목표관리기술(MBO) 사회복지기관에서 MBO모델 목표관리기술 MBO / (목표관리기술(MBO))
2. 귀납적 목표설정
다섯째, 장‧단기 목표들을 설정하는 것을 장려함으로써, 단지 주어진 서비스 요청에 그때 그때 수동적으로 reaction 하는 식의 기획을 막을 수 있다아 목표는 비교적 장기적으로 설정하며, 목표들은 궁극적으로 조직의 임무(mission)와의 결부를 가능하게 한다.
사회복지기관에서 MBO를 활용할 경우 얻게 되는 長點은 다음과 같다.
둘째, 목적과 목표설정에 구성원들의 참여를 장려함으로써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동기를 증진시키고, 기관에 대한 개인별 기여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개인들간의 불필요한 경쟁을 억제하여 구성원들간에 일종의 결속감을 생성해내는 데 도움이 된다된다. 구체화된 목표들이 제시됨으로써 구성원들이나 팀별로 제시되었던 목표들이 성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4. 활동과 자원의 결정
셋째, 개인별 목표들이 취합되어 각팀별로 목표들이 설정되고, 공동으로 이것들을 추구해나가는 과정을 강조한다.
1. 조직목표의 명확화와 하위(부하)목표의 설정
5. 주요 활동들의 모니터

다.
목표에 의한 관리는 다른 많은 관리제도와 같이 운영기능이나 운영요소(사람, 돈, 물자, 정보 등)의 한 부분 한 측면에만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고, 운영의 기본적인 사고(思考) 또는 일의 추진방법에 관계된다는 의미에서 모든 관리활동의 근간이 된다된다.
설명
목표관리기술(MBO) 사회복지기관에서 MBO모델 목표관리기술 MBO
3. 최종결과의 검토 및 평가
사회복지기관의 목표(goal)관리기술(MBO)
넷째, 체계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