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체계(RIS)]지역산업을 `이노베이션` 국가 균형발전 `디딤돌`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1:13
본문
Download : 20060426-.jpg
[지역혁신체계(RIS)]지역산업을 `이노베이션` 국가 균형발전 `디딤돌`로
다. 포럼은 이러한 사업의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 운영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미 전국 각 지역에서는 RIS 주체들이 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육성과 미래형 혁신 신도시 건설, 지역산업 진흥사업 등과 연계된 다양한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아 구미·창원·울산·광주·군산 등지역에서는 기업체와 대학·연구소 등 기존 산업단지의 혁신 클러스터화가 진행되고 있다아 또 지역기술혁신센터(TIC)·지역디자인센터(RDC)·신기술establishment 보육사업(TBI)도 추진되고 있으며 대덕 연구단지를 기점으로 광주와 포항 등지에서 지방과학연구단지 조성 및 연구개발 클러스터 구축 노력이 한창이다.
[지역혁신체계(RIS)]지역산업을 `이노베이션` 국가 균형발전 `디딤돌`로
지역혁신체계(RIS:Regional Innovation System)는 참여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균형발전 strategy의 핵심 축이다. RIS는 지자체와 대학·기업·시민(Citizen)단체(NGO) 등 지역혁신 주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해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의지가 담긴 것이다.
[지역혁신체계(RIS)]지역산업을 `이노베이션` 국가 균형발전 `디딤돌`로
RIS는 각 지역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모든 산·학·연 협력사업을 총칭한다. 다시 말해, RIS는 지역의 혁신역량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지역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가혁신체계(NIS:National Innovation System)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아
설명
순서





광주와 전남지역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과 광주테크노파크·광주디지털가전부품개발지원센터 등이 광산업과 첨단 부품소재, 디지털 가전산업의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전북지역에서는 전주나노집적센터와 전북테크노파크 등이 나노기술(NT) 산업과 자동차·기계부품 기술개발 및 시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아
이처럼 각 지역에서 RIS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대학과 연구소 등 각 기관, RIS 주체들이 지역성장의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아 아울러 중앙 및 지방정부의 RIS 사업에 대한 투자가 커질수록 이들의 역할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동시에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아
Download : 20060426-.jpg( 66 )
대구·경북에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경북대 임베디드소프트웨어협동연구센터,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등이 힘을 모아 전자태그(RFID)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모바일·텔레메틱스 등 사업을 벌이고 있다아 이러한 사업을 통해 대덕밸리에 이어 연구·개발 특구 지정을 기대하고 있다아
레포트 > 기타
특히 정부의 RIS 특성화 시범사업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해당 지역 RIS 주체들이 앞다퉈 프로젝트에 가세하고 있다아
[지역혁신체계(RIS)]지역산업을 `이노베이션` 국가 균형발전 `디딤돌`로
충청과 대전 지역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충남북테크노파크·대전시첨단산업진흥재단 등이 바이오 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기술개발 △인력양성 △기술이전 및 마케팅 등 사업을 벌이고 있다아
전국팀
부산과 경남·울산 지역에서는 기계 및 자동차부품 혁신 사업에 RIS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아 국내 최대 기계 산업 집적지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부산대가 주축이 돼 R&D와 인력양성을 벌이고 있으며 동서대는 영화·영상 산업 혁신을 위한 사전제작시스템(PPS) 사업단을 운영중이다. 크게 프로젝트 사업과 포럼 활동 지원으로 나뉘는데, 프로젝트 사업으로는 기술개발·인력양성·마케팅·네트워킹 및 기업지원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