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4:52
본문
Download : 주자.hwp
주자는 북송시대에 전개된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종합계승하여 학문체계를 완성하였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집대성자라 하며, 공자와 맹자이후 유학정신을 드높였다는 점에서 신유학의 대표자 라고 할수 있다 주자의 철학 사상은, 中國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위시한 동남아 유교culture권에 오백년 이상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하였다. 이동을 스승으로 삼아, 함양공부의 중요성을 깨닫고, 호굉의 공부방법인 “먼저 성찰한 다음 함양”하는 방법을 수용한다. 후에 육구연과의 논쟁은 주자계통은 성즉리(性卽理)의 리학과 육구연 계통의 심즉리(心卽理)인 심학으로 발전시킨다. 또한 “중화구설”을 받아들여 심성론과 공부수양의 체계를 세우는데, 이는 중용의 중(中)과 화(和)에 대한 성리학적 해설과 공부 방법론으로 이발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마음의 움직임이 물욕에 가려져 혼란 하더라도 양심의 단서는 언제나 드러나 기에 성찰하면, 화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저술로는 태극도설해, 연형답문, 근사록등등이 있다
설명
1) 천도관(天道觀)
주자
주자
자연우주관: 자연과 인간의 관계
유가철학의 중심문제는 인간의 본질, 생명활동에 관한 문제로 인간의 인생 및 목표(目標)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culture사 저자 장승구 외 253p 참조
주자철학세계
주자
주자 주자 주자 주자 주자 주자 주자
사회관: 인간 개념에서 개인과 개인간의 관계
.
과 생명의 기본 문제에 부딪히는데, 이에 대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 생명의 본체, 즉 천(天), 천도(天道)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culture사 저자 장승구 외 254p 5~참조
주자
주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주자
.
주자
역사culture관: 사회관과 자연우주관의 문제 결합
순서
으로 나뉘며 유가철학 에서는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로 說明(설명) 한다. 이후 그는 “중화신설”(中和新說)을 중화구설을 기초삼아 더욱 발전하는데 이는 마음을 이발로 본성을 미발로 삼아 심성의 개념뿐 아니라 공부 수양론을 재검토 하게 된다. 中國 남송시대의 철학 사상가로서 무원(婺源) 사람이며, 복건의 우계에서 태어나 1200년경에 죽었다. 이
. 여기에는 세계관에 이해가 전제 되는데, 사회관, 자연우주관, 역사culture관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culture사 저자 장승구 외 253p 16~참조
이름은 희(熹) 이고, 자는 원회(元晦) 혹,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이다.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culture사 저자 장승구 외 254p 1~참조
Download : 주자.hwp( 43 )
-유가입장에서 본 인간의 본질 파악
다. 그의 사상은 많은 서적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방대하며 복잡하다 그는 유가부터 불교와 도가에 이르기 까지 中國 전통culture 사상을 익혔으나 유가사상에 더욱 심취 하였다. 정계에 후에 진출하게 되지만, 황실 재정낭비와 권신의 권력남용의 비판을 한 주자에게 조정에서 물려나게 하고 학술활동 금지령을 내린다. 그는 살아 생전에 주로, 복건의 숭안과 건양에 거주하면서 학문을 강론 하였다 하여 다른 학파와 구별하여 “민학(閩學)”이라 부른다. 수양방법으로는 거경(居敬)이 강조되며, 심성론의 기본틀이 된다.
유가에서 본질을 탐구할 때, 인간 생명의 내원(來源)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culture사 저자 장승구 외 254p 3~참조
주자





주자
.
주자
에 대해 논의 한다. 이는 마음이 아직 외부 사물과 접촉이 없어 사려가 시작되지 않은 희노애락을 미발로 규정하고 심성과 중화 개념을 說明(설명) 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