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4 02:41
본문
Download :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hwp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 Freud : 외상보다는 발달의 문제, 해리보다는 억압을 강조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 Colin Ross, Frank Putnam(1989) : 해리 현상의 흥미진진한 歷史(역사)와 그
2. 해리 상태에서의 추동, 정동, 기질
☞ 19세기 말 상당한 학문적 성과를 올렸던 해리에 대한 연구가 저조
☞ 이는 그를 따르는 사람들과 당시의 analysis적 치료자들에게 influence을 미침
순서
.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Anna O : Josef Breuer의 유명한 환자면서 정신analysis에 막대한 influence을 끼친 기능 수준이 높은 다중성격의 예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 Morton Prince(1906) : 해리성 환자“Moss Beauchamps”의 事例 출간
☞ Breuer와 Freud는 그녀를 히스테리 질환의 양상으로 보았으나, 현대의 전문가들은 대부분 그녀를 해리적인 사람으로 진단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 Christine Costner Sizemore : The Three Faces of Eve의 주인공
o 1980년대 해리에 기초한 다중성격 장애 및 이와 관련된 심리는 성격유형과 장애의 도식들 속에 포함되기에는 발생 빈도가 너무 낮다고 인식
Download :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hwp( 78 )
- Pierre Janet(1890) : 히스테리 증상을 해리 과정이 관점에서 설명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
o Kernberg와 같은 이론가들의 influence으로 해리와 분열을 혼동하고 해리성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경계선 혹은 정신분열증으로 진단했던 事例가 있었으며, 현대에도 해리 관념을 주장하는 쪽과 비판하는 쪽의 논쟁적 태도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성격심리학 (해리성 성격)
o Freud는 성학대에 관해 이를 환상으로 여기는 경향을 보였고, 외상과 성학대보다 환상과 발달적 문제의 상호작용을 강조 ⇒ 유혹이론
병인에 관한 다양한 추측을 담은 책 저술
o 다중성격자는 고통스러울 때 변경된 의식 상태로 들어가는 자기최면
o 다중성격 : 기태적인 정신이상이 아닌 특정한 유형의 사람들이 특정한 종류의 과거사에 적응한 결과(아동기에 기원을 둔 만성적인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o 다중성격의事例
.
☞ Freud가 억압에 기초하여 이를 설명하려고 한 것에 대한 반대 입장
-4710_01_.jpg)
-4710_02_.jpg)
-4710_03_.jpg)
-4710_04_.jpg)
-4710_05_.jpg)
의 대가이며, 최면상태에 들어갈 수 있는 체질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외상을 억압, 행동화, 중독으로의 도피 등등의 방식으로 다룬다)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