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17:44
본문
Download :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hwp
두 책의 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동동에 마주향하여 는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있었다.
2.구연방식 「고려 국어가요의 해석」 최철, 연세대학교, 1996
.





2. 初入 排列圖 :
1.관련문헌
.
3) 舞鼓
춤 : 舞妓二人(악), 舞隊(고)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분석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분석
Download :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hwp( 48 )
순서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analysis
.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분석
1. 등장인물 : 반주 : 樂師(악), 樂官(고)
설명
「고려사」악지 속악조에는 동동의 구연방식이 introduction되어 있으며, 이것은 「악학궤범」권3 고려사악지 속악 정재에도 그대로 실려 있다 「악학궤범」권 5 아박에도 동동의 노래말과 함께 연희의 과정이 introduction되어 있으나, 「고려사」의 내용과는 약간 다르다.
< (악) :「악학궤범, (고) :「고려사」>
牙拍 牙拍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분석
3. 진행 과정
Ⅱ. 본론
舞 舞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중심으로 <동동>의 어구해석과 해석상 쟁점을 알아보고 구조 및 내용분석, 성격, 생성시기 등에 마주향하여 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 노래 : 諸妓(악), 기(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analysis
동동 - 구연방식 원문 어구해석 및 현대어역 구조 및 내용 analysis
<동동>은 서사를 처음 으로 정월부터 12월까지 13연으로 된 전통적인 세시풍습이 담긴 달거리 노래의 효시로 보는 여요이다. 형식에서 보여준 달거리의 짜임과 님에 대한 애절한 연모의 정이 지극하게 묘사되었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러 부분의 해석이 불확실한 상태이며 이렇게 확정되지 않은 어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작품의 의미 또한 불확실 할 수밖에 없다.
<동동>과 관련이 있는 문헌의 기록으로는 「악학궤범」권5에 가사의 전편이 수록되어 전하고, 「대악후보」권7에도 악보가 전하고 있다 그 밖에 관련된 문헌으로는 <「고려사악지」권71 악지2>, <「세종실록」권116 29년6월4일>, <「세종실록」권 126 31년10월3일>, <「성종실록」권132 12년8월>, <「악학궤범」권5 향약정재>, <「경국대전」권3 예전 악공취재조>,<「대동야승」권1 용재총화>, <「중종실록」권32 13년4월1일>, <「대악후보」귄7>, <「어우야담」귄3 음악>, <「지봉유설」권18 기예부 음악>, <「신증보문헌비고」권106 악고>, <「임하필기」권38 해동악부>등이 있다 「고려속요집성」, 김명준, 도서출판 다운샘
2) 악관이 東楹을 거쳐 들어와 殿中의 좌우에 牙拍을 놓는다.
1) 舞鼓 두 명이 樂官과 諸妓를 이끌고 남쪽에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