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애니 방송총량제 `속빈 강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5:58
본문
Download : 20060925-.jpg
◇“방송사도 적자”= 방송사들도 할말이 있다 국산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울며 겨자먹기’로 애니메이션을 내보내고 있는 방송사들이 쿼터에 맞추기 위해 저예산 애니메이션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된다. 또 애니메이션을 위해 쓰이지 않는 방송발전기금을 비롯한 각종 기금을 도입하거나 애니메이션 방송시간대의 광고 배분을 위한 government 의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업계의 주장이다. 방송사가 국산 애니메이션에 지급하는 방영권료는 편당(30분 기준) 1500만원 가량으로 외국 애니메이션의 방영판권 구입비용인 250만∼300만원에 비해 5∼6배 가량 비싸다.
국산 애니 방송총량제 `속빈 강정`
애니메이션 업계 한 관계자는 “방송사들이 쿼터를 채우기 위해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애니메이션을 구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이같은 구조하에서는 산업을 되살릴 킬러콘텐츠의 등장 기회가 영원히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수련기자@전자신문, penagamy@etnews.co.kr
국산 애니 방송총량제 `속빈 강정`
국산 애니 방송총량제 `속빈 강정`
국산 애니 방송총량제 `속빈 강정`
◇양은 늘었지만 질은 의문부호=지난해 지상파 방송 3사의 국산 애니메이션 총방영 분수는 2만 2990분으로 2004년 1만8650분에 비해 23.3% 증가했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지상파의 경우 전체 방송시간의 1%를 신규 국산 애니메이션으로 채워야 하는 애니메이션 방송총량제가 도입됐지만 국내 애니메이션업계의 경영사정은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여전히 영세적인 구조에 머무르고 있다
순서
이같은 증가는 지난해 7월부터 도입한 총량제 도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지만 절반의 성공으로 보고 있다 당초 취지와 달리 총량제가 애니메이션의 질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산 애니메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방송총량제의 약발이 먹히지 않고 있다 당초 기대했던 작품의 수준 향상이나 투자 및 제작 환경 등 산업의 질적 改善(개선) 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방송총량제를 보완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레포트 > 기타
반면 애니메이션 한편당 붙는 광고는 1∼2개로 애니메이션 편성 자체가 연간 수십억원의 적자를 낳고 있다는 방송사의 불평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따라 총량제를 지켜야 하는 방송국으로서는 저예산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눈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관계자는 “총량제 실시로 제작사들의 제작 편수도 늘고 일시적으로나마 산업이 성장하는 양태도 보였지만 현재 방송 3사가 애니메이션산업을 책임지는 구조”라며 “TV시리즈의 경우 특히 산업구조가 중요한데 제작사와 방송사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설명
Download : 20060925-.jpg( 59 )
다.
◇총량제 보완할 지원책 나와야=따라서 방송사와 제작사는 애니메이션 총량제의 보완 대안으로 광고수입 지원과 연동한 방영권료 인상 대안의 연구, 애니메이션 전문펀드 조성 등 국가적·사회적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