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질량 완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3:10
본문
Download : 몰질량 완성.hwp
이렇게 되면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지 않아 대류가 일어날 것이고 아세톤이 새어나간 것 뿐만 아니라 바깥 공기도 대류를 통해 플라스크 안으로 들어와서 오차의 Cause 이 될 수 있다아
또, 아세톤이 다 기화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중탕을 멈추었는데 소량의 아세톤이 액체상태로 남아있었을 가능성도 있다아 이 외에도 온도, 부피의 측정(測定) 에서 정확성이 떨어진…(drop)
몰질량 완성 , 몰질량 완성전기전자실험결과 , 몰질량 완성
몰질량,완성,전기전자,실험결과


실험결과/전기전자
순서
몰질량 완성
Download : 몰질량 완성.hwp( 82 )
몰질량 완성
다.
이번 test(실험) 에서 측정(測定) 한 아세톤의 몰질량은 39.918g/mol이었지만 실제 아세톤의 분자량은 58.08g/mol이다. 절대오차=ㅣ58.08g/mol-39.918g/molㅣ=18.162g, 상대오차0.3127. 이렇게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우선, 증발한 아세톤 기체가 모두 플라스크 안에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뚫어놓은 작은 구멍으로 빠져나간 양도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래서 실제로 중탕 중에 아세톤 향이 많이 느껴졌다.
설명
8.Result
플라스크와 알루미늄 뚜껑의 처음 무게 : 67.25g
식힌 플라스크와 뚜껑의 무게 : 67.49g
응축된 시료의 무게 : 67.49g-67.25g=0.24g
끓는 물의 온도 : 332.65K(59.5℃+273.15)
대기압 : 1atm
플라스크의 부피 : 0.164L
액체 시료의 몰질량 :39.918g/mol
몰질량(M)=인데 W=0.24, R=0.082, T=332.65, p=1, V=0.164이므로
M39.918
9.Discussion
이번 test(실험) 을 배우는 이유는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해서 기체의 몰질량을 직접 측정(測定) 해보기 위함이다. 그리고 둥근 플라스크를 물 안에 깊게 잠기도록 해야 하는데 물이 얕아서 충분히 잠기지 않았다. 이번 test(실험) 의 theory 은 이상기체에 대해 다루고 있다아 실제 기체는 이상기체와는 다르지만 대부분의 기체는 상온, 상압에서 어느 정도 이상기체와 유사하므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다아 test(실험) 할 때 물중탕을 한 이유는 액체 시료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감을 막기 위함이고 사용한 액체 시료인 아세톤은 끓는점이 ...
8.Result
플라스크와 알루미늄 뚜껑의 처음 무게 : 67.25g
식힌 플라스크와 뚜껑의 무게 : 67.49g
응축된 시료의 무게 : 67.49g-67.25g=0.24g
끓는 물의 온도 : 332.65K(59.5℃+273.15)
대기압 : 1atm
플라스크의 부피 : 0.164L
액체 시료의 몰질량 :39.918g/mol
몰질량(M)=인데 W=0.24, R=0.082, T=332.65, p=1, V=0.164이므로
M39.918
9.Discussion
이번 test(실험) 을 배우는 이유는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해서 기체의 몰질량을 직접 측정(測定) 해보기 위함이다. 이번 test(실험) 의 theory 은 이상기체에 대해 다루고 있다아 실제 기체는 이상기체와는 다르지만 대부분의 기체는 상온, 상압에서 어느 정도 이상기체와 유사하므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다아 test(실험) 할 때 물중탕을 한 이유는 액체 시료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감을 막기 위함이고 사용한 액체 시료인 아세톤은 끓는점이 56.5℃로 중탕에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