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이해D]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說明)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8:55
본문
Download :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hwp
대표적인 예로, 수화(sign language)나 컴퓨터 키보드, 문자판 등을 이용해 인간의 언어를 배우고 있는 침팬지와 오랑우탄, 고릴라 등의 유인원들이 있으며, 모사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인간의 언어를 배워 사용하고 있는 앵무새도 있다. 새에게 날개가 있듯이, 물고기에게 지느러미가 있듯이, 인간에겐 언어가 있다는 것이다.
3) 공시성(Synchrony), 통시성(Diachrony)
Ⅳ. 결 론
대개의 언어학자들은 인간만이 언어다운 언어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이 언어만이 동물과 인간을 구분 짓는 절대적 특징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양자 사이의 더 근본적인 차이는 양적 차이가 아니라 질적 차이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순서
10) 언어의 추상성
Ⅱ.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分析(분석)
Ⅰ. 서 론
1) 언어의 기능적 characteristic(특성)
언어의이해,동물언어,인간언어,인간언어동물언어비교,랑그,기호학,빠롤,소쉬르,
설명
4) 계열체(Paradigm), 통합체(Syntagm)
2) 언어의 자의성
5) 언어의 창조성
Ⅰ. 서 론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1) 기표 (시니피앙, Signifiant) / 기의 (시니피에, Signifie)
3) 초음파
2. 동물(곤충)언어의 특징
1. 인간 언어의 특징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5) 융통성, 학습
2) 랑그(Langue), 빠롤(Parole)
1) 시각적인 신호
[참고data(資料)]
3) 언어의 의사 교환성
6) 언어의 사회성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였습니다. 인류와 진화론적으로 가장 가깝다고 알려진 침팬지, 원숭이, 고릴라 등의 통신 모습은 음성, 몸짓, 후각, 촉각 등으로 위협, 분노, 순종 등 여러 가지를 교신함이 observation되었으나 이러한 어휘의 수는 20~40 가지 정도로 극히 제한되어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그때그때의 감정을 노출시키는데 지나지 않았다.
2) 화학적인 의사소통
Ⅲ. 기호학에 대한 설명
2. 기호학(semiology)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說明)하였습니다. 밥그릇을 입에 물고와 주인 앞에 내려놓은 채 컹컹거리는 개나, 꼭 잠긴 방문을 애타게 긁으며 야옹거리는 고양이의 모습을 보면, 분명히 그들이 나름의 방법으로 “말”을 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언어의이해D]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說明)
4) 전기, 진동, 그리고 접촉
계속되는 연구 가운데, 사람이 동물의 언어를 연구해서 사실적인 통역이 가능하기까지는 무척이나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사실을 간파한 몇몇 학자들이, 동물에게 인간의 언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참고자료]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7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9) 언어의 법칙성
사람과 같은 말은 할 수 없지만, 동물들도 분명히 감정과 생각이 있고, 필요에 따라 그것을 표현한다.
그것은 동물들도 그들 나름대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지만, 그 행위들은 고정적이고 본능적이며, 아주 한정된 폐쇄신호에 불과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고래가 각자의 독특한 발성법과 목소리로 서로서로 개체를 구분해 내며, ‘클릭소리(click)’, 혹은 ‘노래’처럼 들리는 소리를 통해 이성을 유혹하거나, 여러 가지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동물의 의사소통 행위를 연구한 학자들에 의하면 어류는 약 10~15, 조류는 15~25, 포유동물은 20~40 가지 신호를 쓴다고 한다.
3. 인간언어의 특징과 동물(곤충)의 언어 비교
3. 기호학의 요소





다.
7) 언어의 분절성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歷史(역사), 한국문화사, 2007
4) 언어의 역싸성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인간의 언어는 적어도 수만에서 수십만 단어가 있으니 동물의 언어가 가진 단어 수는 우선 양적인 면에서도 인간의 그것과 전혀 비교가 되지 않는다. [참고 자료]
1. 기호성
8) 언어의 기호성
Download : 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hwp( 64 )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오랜 시간의 꾸준한 observation과 연구를 통해 학자들은 벌이 일련의 춤을 통해 꿀이 많은 곳과 벌집으로부터 꿀이 떨어져있는 거리를 동료들에게 알려준다는 사실을 파악해 냈다. 또 뜻밖의 상황에 적응하는 새로운 신호는 나타나지 않았고, 그들의 신호는 판에 박은 듯이 고정된 것이고 의례적인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