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부천시(富川市).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22:11
본문
Download : 부천.hwp
1899년에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부천지역에 소사역을 두었다. 고려시대에는 수주(樹州 : 940)·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 1150)·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 : 1215)·길주목(吉州牧 : 1308)·부평부(1310) 등으로 여러 번 이름이 바뀌었다. 품질 좋은 복숭아로 유명했던 소사읍에 1957년부터 범박동을 중심으로 대한예수교부흥협회의 종교집단 취락(속칭 신앙촌)이 형성되어 주목을 받기도 했다. 1914년 군면폐합 때 개항장을 인천부로 지정하고, 인천부의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 전역, 강화군 북도면, 남양군 대부면·영흥면을 통합한 광대한 면적의 행정구역을 신설하고 인천과 부평에서 글자를 따 부천군으로 이름했다. 1963년 일부 행정구역이 서울특별시로, 작약도가 인천으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에 부천군이 폐지되고 소사읍을 중심으로 부천시가 신설되었다. 그후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부천시가 인구증가와 성장을 …(투비컨티뉴드 )
1. 연혁, , 2. 자연환경, , 3. 인구, , 4. 산업 교통, , 5. 유물 유적 관광, , 6. 교육 문화, , 7. 참고문헌, FileSize : 32K , [도시] 부천시(富川市).인문사회레포트 , 부천시 부천 富川市 富川
Download : 부천.hwp( 45 )
부천시,부천,富川市,富川,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부평군, 1896년에 경기도 부평군이 되었다. 이때 소래면은 시흥군으로, 오정면·계양면은 김포군으로, 영종면·북도면·용유면·덕적면·영흥면·대부면 등 섬 지역은 옹진군으로 편입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 때 부평도호부가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1. 연혁, , 2. 자연환경, , 3. 인구, , 4. 산업 교통, , 5. 유물 유적 관광, , 6. 교육 文化(culture) , , 7. 참고한 문헌 , 파일크기 : 32K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도시] 부천시(富川市).
1. 연혁
2. 자연環境(환경)
3. 인구
4. 산업 교통
5. 유물 유적 관광
6. 교육 文化
7. 서지사항
연혁 지금의 부천시는 조선시대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의 동남부지역이었다. 지금의 부천시 지역은 이때 옛 부평군의 법화관면·상오정면·하오정면이 통합된 오정면과 수탄면·수곡면·옥산면·석천면이 통합된 계남면에 해당한다. 1931년에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1941년에는 소사읍으로 승격했다. 부평은 삼국시대에 백제(또는 고구려라고도 함)의 주부토군(主夫吐郡)으로, 757년(경덕왕 16)에 장제군(長堤郡)으로 개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