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13:51
본문
Download : 장기이식.hwp






Ⅰ.장기이식에 관한 법률적 고찰
가. 장기이식의 의의와 종류 .................................................................................4
나. 죽음의 의학적 정이 .......................................................................................5
1. 심폐기능설 ..................................................................................................5
2. 뇌사설 ........................................................................................................6
(1) 뇌사의 종류 ............................................................................................6
(2) 뇌사가 대두된 이유 .................................................................................7
(3) 뇌사판정 기준 .........................................................................................8
다. 또 협의의 장기이식으로는 신장이식. 간이식. 췌장이식. 폐이식. 심장이식 등을 들 수 있따 그리고 수혈. 피부이식. 각막이식 등은 조직이식에 속한다. 일실성의 결여 .............................................................................................41
라. 너무 포괄적인 법의 범위 ..............................................................................41
마. 기증 동의의 모순 ........................................................................................41
바. 법이 윤리를 훼손 ........................................................................................42
Ⅵ.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에 대한 합리적 모색
장기이식은 법철학 상으로 인체의 동일성. 인격의 동일성. 인간의 존엄성. 국민의법감정 등에서 여러 가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장기이식은 의학적으로나 법률적으로 풀어야 할 많은 과제課題를 던져 주고 있따 즉, 의학상의 기술적인 문제와 법률적으로 환자에게 수반되는 위험 및 기증자의 희생과 불행을 어떻게 해결 할 것이나 하는 문제들이 그것이다. 장기매매와 관련된 금지 행위 ........................................................................32
Ⅳ.장기이식에 관한 입법례
가. 우리나라의 입법례 .......................................................................................33
나. 외국의 입법례 .............................................................................................34
1. 미국 .........................................................................................................34
2. 영국 .........................................................................................................34
3. Japan .........................................................................................................35
4. 스페인 ......................................................................................................35
5. 독일 .........................................................................................................36
다. 만성신부전의 치료에 신장이식수술이 도입 된지 35년이 흐른 지금은 장기이식은 더 이상 희귀한 수술이 아니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에 천여 건 이상의 이식수술이 시행되고 있따
의학의 발달과 소득의 증가, 노인인구의증가 등으로 인하여 장기 이식의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지만, 이식용 장기가 부족한 것은 각 나라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모든 나라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9년 장기이식이 처음 실시되었다. 대개의 나라에서는 이러한 이식용 장기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법적인 절차로 뇌사를 사망으로 인정하여 이식에 필요한 장기들을 기증할 수 있게 하고 있따 그러나 장기이식과 관련한 법률은 뇌사와 관련한 문제만이 아니라 장기이식 과정 전반에 걸쳐 생길 수 있는 윤리적 법적 문제들을 규율, 인간의 존엄성을 보존하고 사체의 도구화를 방지하도록 하며 기증자와 수혜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Ⅰ.장기이식에 관한 법률적 고찰
가. 장기이식의 의의와 종류
보통 넓은 의미로 장기이식이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인간 혹은 동물의 생체내지 사체로부터 적출된 조직 또는 장기를 환자의 체내에 이식하여 그 기능을 대행시키는 외과적 처치를 말한다.
먼저. 자가이식이란…(skip)
장기이식
Download : 장기이식.hwp( 89 )
레포트/의약보건
최종안
순서
설명
장기이식최종안 , 장기이식의약보건레포트 ,
장기이식
,의약보건,레포트
다. 장기이식 행위의 법률상 problem(문제점) .......................................................................9
1. 장기이식 행위의 법적 정당성 ........................................................................9
2. 장기기증의 동의 ........................................................................................10
Ⅱ. 장기이식의 문제와 허용요건
가. 수혜자 측면에 있어서의 문제 ........................................................................11
1. 이식 근거 .................................................................................................11
2. 이식 요건 .................................................................................................11
(1) 치료의 목적 ..........................................................................................12
(2) 수혜자의 승낙 .......................................................................................12
① 본인승낙의 원칙 / ② 현실적인 승낙이 없는 경우(추정적 승낙)
③ 위법하게 적출된 장기의 이식
(3) 의사의 설명(說明) ..........................................................................................13
① 설명(說明)의무의 의의 / ② 설명(說明)의 주체 / ③ 설명(說明)의 형식과 시기 / ④ 설명(說明)의 제한
(4) 의술의 법칙 ..........................................................................................15
3. 강제 장기이식의 허용성 ..............................................................................16
나. 기증자 측면에 있어서의 문제 ........................................................................17
1. 살아있는 자로부터의 장기적출 .....................................................................18
(1) 적출 근거 .............................................................................................18
(2) 적출 요건 .............................................................................................19
(3) 기증자의 승낙 .......................................................................................19
① 승낙 주체 / ② 승낙 능력 / ③ 승낙의 범위와 적출대상 장기
④ 자유의사에 의한 승낙 / ⑤ 승낙의 표시 / ⑥ 승낙의 시기
(4) 의사의 설명(說明) ..........................................................................................21
(5) 강제 장기적출의 금지 ............................................................................21
2. 사체로부터의 장기적출 ...............................................................................22
(1) 사체장기의 이용확대 ..............................................................................22
(2) 적출 근거 .............................................................................................22
(3) 적출 요건 .............................................................................................23
(4) 기증자측의 승낙 ....................................................................................23
① 본인의사의 최우선성 / ② 유족의사의 존중 / ③ 제3자의 의사에 의한 적출
④ 의사표시의 방식 / ⑤ 승낙의 범위와 적출대상장기
(5) 의사의 설명(說明) ..........................................................................................26
(6) 강제 사체장기적출의 금지 ......................................................................26
3. 뇌사자로부터의 장기적출 ............................................................................27
(1) 뇌사의 인정을 찬성하는 입장 ..................................................................27
① 본인이 명시적으로 동의한 경우 / ② 본인이 명시적으로 거부한 경우
③ 본인의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
(2) 뇌사의 인정을 반대하는 입장 .................................................................29
Ⅲ. 장기매매
가. 장기매매금지의 보호법익 ..............................................................................31
나. 장기매매에 있어서 대가성 여부 .....................................................................31
다. 그래서 광의의 장기이식은 이식용으로서의 대체조직 또는 대체장기를 어디서 구하느냐에 따라 자가이식, 동종이식, 이종이식의 세 종료로 나누어진다. 외국의 법과 우리나라 법의 비교 및 시사점 ....................................................37
Ⅴ.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problem(문제점)
가. 비효울적인 법 구조 .....................................................................................40
나. 비전문적인 개념(槪念) 규정 ..................................................................................40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