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2 00:50
본문
Download :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hwp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부귀는 모든 사람이 원하는 것이다.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1. 유학과 경제
그렇다면 공자는 경제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였을까? 다음의 일화를 살펴보자.





‘너는 엄마가 좋니? 아빠가 좋니?’ 이 말은 우리가 살아오면서 한번쯤은 들어본 질문일 것이다. 게다가 우리 자연과학캠퍼스 학우들에겐 경제, 윤리 이런 것들은 상대적으로 낯선 주제이다.
“그들이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살도록 해줘야지.”
그러자 공자가 말했다.
다. 어린아이에게 이 얼마나 난해한 질문인가? 해답은 간단하다. 즉,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견리사의(見利思義)를 추구했다.” KBS인사이트 아시아 유교 제작팀. [유교 아시아의 힘], (예담, 2007년) p149~151
.
왜 공자는 이처럼 정당한 방법을 강조했을까? 왜 이득을 얻기 전에 먼저 의(義)를 생각해야 하는것인가? 다음의 말에서 우리는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번화한 위나라를 보고 공자가 말했다.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이렇듯 백성이 많아진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이득을 보면 의로운가, 의롭지 않은가를 생각하라.” KBS인사이트 아시아 유교 제작팀. [유교 아시아의 힘], (예담, 2007년) p149~151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Ⅱ.본론
공자가 위나라에 갈 때의 일이다. 의로움을 생각하지 않는 이익은 사회 전체적으로 악이 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위의 두 문단에서 알 수 있듯이 공자는 이익추구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처럼 다음의 내용들을 충분히 익혀서 우리 모두 자신의 생각을 당당하게 나타내보자.
“그들을 가르쳐야지.” KBS인사이트 아시아 유교 제작팀. [유교 아시아의 힘], (예담, 2007년) p134~139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염유가 다시 물었다.
“나라가 번성하고 백성이 참 많구나.”
“백성의 생활이 윤택해진 다음에는 또 무엇을 해야 합니까?”
.
공자가 말했다.
설명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순서
Download :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hwp( 47 )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 신용의 관계
그러자 공자가 탄 수레를 몰던 제자 염유가 물었다. 그러나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부귀가 아니라면 그것을 취하지 않아야 한다. 공자는 “이익만 좇으면 원망이 많게 된다 KBS인사이트 아시아 유교 제작팀. [유교 아시아의 힘], (예담, 2007년) p149~151
하지만 우리가 오늘 토론하게 될 ‘국방과 경제와 신용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에 대한 답은 생각처럼 그리 간단하게 나오지 않는다. 요약하면 이익을 추구하되, 일정한 선을 지키자는 것이다. 우리는 엄마 앞에선 엄마를, 아빠 앞에선 아빠가 좋다고하는 지혜를 발휘하면 된다
.
고 말하였다. 엄마가 좋다고 하면 아빠가 서운해 할 것이고, 아빠가 좋다고 하면 엄마가 서운해 할 것이다.
라는 말에서 알수 있듯이 공자는 경제적 이득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입에 담지 않고 이(利)를 추구함에 있어서 반드시 의(義)를 전제해야 한다는 말만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