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定義(정의), 관념, 갈래, 特性(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9 18:30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정의, 개념, 갈래, 특성.hwp
1970년대 이후부터는 많은 학자들이 논의가 여러 갈래로 갈리기 처음 한다는 점에서 아주 특이하고 까다로운 분야이다. 1970년대 이후부터는 많…(省略)
[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정의, 개념, 갈래, 특성 , [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정의, 개념, 갈래,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현대국어 보조용언 정 개념 갈래 특성
레포트/인문사회
다.[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定義(정의), 관념, 갈래, 特性(특성)
Download : [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정의, 개념, 갈래, 특성.hwp( 94 )
순서
설명
인문어학,현대국어,보조용언,정,개념,갈래,특성,인문사회,레포트
[인문어학]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 定義(정의), 관념, 갈래, 特性(특성)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목 차
1. 들어가며
2. 보조용언(auxiliary verb)이란
2.1. 보조용언의 槪念
2.2. 보조용언의 갈래
3. 보조용언의 property(특성)
3.1. 통사적 비자립성
3.2. 대형 대치 불가능성
3.3. 의미 기능의 문법성
4. 나가며
현대국어의 보조용언(auxiliary verb)
1. 들어가며
국어의 보조용언(auxiliary verb)은 본용언에 후행하는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를 아우르는 용어로서, 전통 문법적, 구조주의 문법적, 변형생성 문법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왔다. 통사론의 입장에서는 용언은 곧 서술어이므로 보조용언은 바로 보조서술어가 된다 반면에 품사론의 입장에서 보조용언은 보조동사나 보조형용사로 나뉘게 된다
본고에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목 차
1. 들어가며
2. 보조용언(auxiliary verb)이란
2.1. 보조용언의 槪念
2.2. 보조용언의 갈래
3. 보조용언의 property(특성)
3.1. 통사적 비자립성
3.2. 대형 대치 불가능성
3.3. 의미 기능의 문법성
4. 나가며
현대국어의 보조용언(auxiliary verb)
1. 들어가며
국어의 보조용언(auxiliary verb)은 본용언에 후행하는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를 아우르는 용어로서, 전통 문법적, 구조주의 문법적, 변형생성 문법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