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00:11
본문
Download : 조사론2강.hwp
- 지식의 원천이 타인, 조직의 권위





* 학습목표(目標)
1.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② 과도한 일반화
- 다수의 사람들이 사실이라고 믿기 때문에 형성되는 사실
1. 과학적 조사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지식의 형성방법을 익힌다. 3. 과학적 조사의 의의와 논리를 이해한다.
1. 과학적 조사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지식의 형성방법을 익힌다. 2. 과학의 定義(정이), 목적, 특징을 이해한다.
(2) 권위에 의한 방법
3. 과학적 조사의 의의와 논리를 이해한다.
① 부정확한 observe
- 무언가를 아는 것이 반드시 실제(reality)나 진리를 의미하지 않음
- 관습은 시대에 따라 변하는 한계
- 어릴 때부터 교육에 의해 당연하게 조성되는 경우
3. 과학적 조사의 의의와 논리를 이해한다.
(1) 합의적 지식
Download : 조사론2강.hwp( 16 )
설명
- 추론 등을 개입하지 않고 대상을 직접 인식하여 스스로 분명한 명제에 호소하는 방법
사회복지조사론,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1. 지식의 형성방법
- 외부의 강요 없이 개인이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에 근거한 지식
* 학습목표(goal)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 지식 탐구를 과학에 의존하는 방법
강의자료(data)집
(1) 관습에 의한 방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2강
- 전통과 권위의 경로를 통해 전달
2. 과학의 정의, 목적, 특징을 이해한다.
- 가능한 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
- 사회적 습관이나 관습에 의해 비판없이 그대로 수용하여 지식 형성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2) 경험적 지식
- 전문가 사이, 권위의 원천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observe은 자신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부정확한 observe이되 기 쉬움.
- 명제의 정확성이나 응용성이 부족
소수의 example(사례) 를 가지고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일 때의 오류
사회복지조사론
* 일상적 경험을 통한 개인적 탐구의 오류 가능성(Rubin, A. & Babbie, E., 1998)
3) 일상적 지식
2) 비과학적 지식탐구
다. 2. 과학의 정의, 목적, 특징을 이해한다.
- 맹목적인 확신에 빠질 위험
순서
(3) 직관에 의한 방법
- 주장의 타당성과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전문기술을 가졌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을 인용하는 경우
1) 과학적 지식 탐구
강의자료집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 학습목표 1. 과학적 조사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지식의 형성방법을 익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