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3 18:59
본문
Download :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hwp
대체로 기존 논의들을 단순히 요점해 보는 것에 그치겠으나, 가끔은 부족하나마 필자 개인의 소견도 넣도록 하겠다.
작품의 歷史적 맥락에서 살핀 연구들을 보면, 먼저 향가 「처용가」와의 관계에 주목한 것으로 이명구, 최용수, 서대석, 최정여 최정여, 『한국고시가연구』, 계명대학교출판사, 1989
, 김순진 김순진, 「고려처용가와 신명」,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등의 연구가 있었다.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 김상억 김상억, 「처용가고」, 『국어국문학』 72.73, 국어국문학회, 1976
.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 임주탁 임주탁, 「고려 <처용가>의 새로운 분석과 해석」, 『한국문학논총』40, 한국문학회, 2005
순서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작품의 미학적 가치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편이며, 상당히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는 것 같다. 이 가운데 많은 논의가 ‘처용’의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다. 최용수나 김상억은 고려 「처용가」가 놀이로서의 특성(特性)과 무가(巫歌)로서의 특성(特性)을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 고려 「처용가」를 본격적인 작품론의 측면에서 논의한 것은 려증동 려증동, 「고려처용노래연구」,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등이 중점적으로 언급을 한 바 있고 그 외에는 단편적인 언급 정도에 그친다. 김수경, 윤성현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설명
, 그리고 다른 여러 연구자들의 단편적인 언급이 있었다. 그 order (차례) 는 다음과 같다
.
, 김수경 김수경, 『고려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보고사, 2004
등이 있으며, 그 외에는 양주동이나 박병채, 최철․박재민의 주해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文化(문화)사, 1947,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data)원, 1994,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 2003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Download :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hwp( 71 )
, 박노준 박노준, 「고려처용가의 형성과정」,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이들에 의해 연구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점 및 요약해 보았다.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여기에서는 앞에서 요점한 기존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려 「처용가」가 어떤 노래인가를 전반적으로 살피는 작업을 수행해 보겠다.





.
속가의 하나인 「처용가」에 대하여 이루어진 기존 연구자들의 논의를 다음과 같이 요점해볼 수 있겠다. 작품의 형성시기와 관련해서는 려증동, 이명구, 성호경 성호경, 「익재 소악부와 급암 소악부의 제작시기에 대하여」, 한국학보 제61집, 1991
고려 처용가에 대하여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고려 처용가에 대해서
작품의 성격에 대한 검토 또한 여러 order (차례) 에 걸쳐 이루어졌다. 김동욱 김동욱, 「처용가 연구」, 『동방학지』5, 1961
, 이명구 이명구, 「처용가 연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삼국유사』 소재의 향가인 「처용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에 비교할 때, 고려 「처용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향가 「처용가」만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연구들 또한 고려 「처용가」의 어석 및 해석에 많은 影響(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들은 향가 「처용가」와 고려 「처용가」 사이의 전승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 서대석 등이 집중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원래 고려 「처용가」는 그것이 계승된 조선조에는 확실히 궁중의 연희에서 무가(舞歌)로 연행되었던 만큼 고려 「처용가」가 무가(舞歌)임을 많은 연구자들이 인정하면서도, 한편 해당 작품이 지닌 다른 성격을 규명하려 하였다.
, 박노준 등의 연구가 있었으며, 또한 당시 고려 「처용가」가 어떤 형태로 존재했을지의 양상에 대하여는 이명구 및 박노준, 그리고 다른 연구자들의 단편적인 언급이 있었다.
고려 처용가에 대상으로하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최용수 최용수, 「처용가고」,『영남어문학』16, 영남어문학회, 1989
, 서대석 서대석, 「고려 <처용가>의 무가적 검토」,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2
, 처용전승 전반에 걸친 歷史적인 연구 김영수, 「처용가 연구 재고」,『신라文化(문화)연구』7, 동국대, 1990
한편으로 논란이 많았던 것은 어석 및 해석의 문제인데, 이에 대하여는 박병채, 최철․박재민, 임주탁, 허남춘 허남춘, 「고려속요와 민속-처용가 만전춘별사를 중심으로」, 『성대문학』 25,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
, 김상억, 서대석, 김순진 등이 고려 「처용가」의 무가(巫歌)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한 바 있으며, 려증동은 작품의 극가(劇歌)로서의 연극적 성격을 규명하기도 하였다.